목록CS (21)
holy's story

대역폭 Bandwidth공학에서는 대역폭을 특정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의 폭으로 정의한다. 신호 주파수의 높고 낮음과는 관계가 없다. 네트워크에서 대역폭이란 단위시간당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용량을 의미한다. 단위시간당 전송 용량이라는 용어에 많은 사람들이 네트워크 속도와 연관지어 설명한다. 네트워크 속도가 대역폭값에 근접할 경우 대역폭을 늘리면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이 있으나 무조건적인 조건은 아니다. 데이터 처리량과 네트워크 성능,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실제로 대역폭은 용량Capacity과 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대역폭이 네트워크 속도라고?🙅🏻대역폭은 속도가 아니다.대역폭은 1초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양을 말한다.네트워크 속도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 즉 데..
저장 프로시저란?여러 쿼리문을 힌번에 사용하기 위해 모듈화하여 저장해둔 집합함수처럼 사용됨특징재사용성여러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가 동일한 로직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성능 향상한 번 컴파일된 후 저장되므로 실행 속도가 빠릅니다.보안 강화직접 SQL 쿼리를 노출하지 않고 프로시저를 통해 접근할 수 있어 보안이 강화됩니다.유지보수 용이로직이 데이터베이스 내에 존재하므로, 변경이 필요할 때 저장 프로시저만 수정하면 됩니다.트랜잭션 관리여러 SQL 문장을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어 처리할 수 있습니다.뷰, 함수, 저장 프로시저의 차이뷰여러번 사용할 가상 테이블을 미리 만들어두는 느낌실제로 새로운 테이블이 생성 되거나 데이터가 저장되진 않음데이터를 직접 수정할 수 없으며, 데이터를 조회하는 데 사용함수단일 값을 ..
JOIN이란?여러 개의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 → 데이터 검색하는 방법집합 개념 생각하면 편함기준 테이블과 조인 테이블로 나뉨교집합, 차집합, 합집합 등 여러 방식으로 조인할 수 있음.💡 JOIN을 왜 사용할까?처음부터 전체 데이터가 들어있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사용하면 안되는건가?정규화 과정 때문에 테이블을 분할하여 생성하기 때문이를 조합해서 사용하기 위해 조인을 사용한다. JOIN의 종류inner join교집합기준 테이블과 조인 테이블의 중복된 값을 보여줌기본값이라 JOIN만 입력해도 inner join이 됨테이블을 읽는 순서는 결과와 상관없음결과공통된 값만 보여줌SELECT *FROM MEMBER, DIARYWHERE MEMBER.Diary_id = DIARY.Diary_id; SELECT ..
데이터베이스무결성개체 무결성(Entity Integrity)기본키의 속성은 null 불가기본키의 속성은 중복 불가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외래키의 속성은 참조 테이블, 즉 원래 테이블 기본키 값과 동일 (당연한 이야기 아닌가)도메인 무결성(Domain Integrity)속성값은 속성이 정의된 도메인의 범위 내에 존재특정 릴레이션에서 성별은 male. female 중에서만 작성가능키란?데이터베이스에서 각 행을 구분하는 유일한 식별자검색, 생성, 삭제 유지 작업을 수행할 때 필요명칭열필드 = 속성열을 구성하는 하나의 세부항목행 = 튜플 = 레코드키의 특징유일성하나의 키값으로 레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성질ex)사람의 정보(주민번호, 나이, 이름)사람의 정보가 담긴 릴레이션이 존재할 ..

프록시 서버란?프록시란?대리, 대신이라는 뜻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가교 역할로 대리 통신을 수행한다는 의미로 프록시라고 지칭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컴퓨터 시스템프록시 서버의 장점보안 강화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ip 주소를 숨길 수 있어서 보안 한단계 더 추가보안상의 이유로 외부와 직접 통신할 수 없을 때 프록시 서버 이용프록시 서버에 요청된 내용을 캐시를 이용해 저장전송시간 절약불필요하게 외부와의 연결을 하지 않아도 됨트래픽을 줄여서 네트워트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대역폭 줄임접속 우회ip때문에 못들어가는 사이트에 들어갈 때 ip 주소를 숨기기 위해 여러 프록시 서버 경유로그 기록클라이언트의 기록을 관리하고 연결된 클라이언트들의 정보 제어후..
## 서비스를 운영하는 중 트래픽이 많아진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갑작스러운 이용자의 증가나 사업 확장일 때는 스케일 아웃, 스케일 업 기법으로 해결 가능- **스케일 아웃** - 더 많은 서버 용량과 성능이 필요할 때 서버를 추가하여 시스템을 확장하는 방법 - 서버 한대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서버를 활용하여 운영가능- **스케일 업** - 서버의 cpu나 ram을 추가하여 부품만 고성능으로 교환하는 방법- **스케일 인** - 작업이 완료되어 더 이상 필요 없는 Scale Out으로 늘렸던 컴퓨팅 수를 줄이는 방법! [Untitled](https://prod-files-secure.s3.us-west-2.amazonaws.com/b94b9bfc-91e2-4c3a-850e-03c..

그리디란?매 순간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선택지를 선택하여 값을 구하는 방식눈앞에 결과만 봄주로 문제를 분할 가능한 문제들로 분할한 뒤, 각 문제들에 대한 최적해를 구한 뒤 이를 결합하여 전체 문제의 최적해를 구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어떤 문제를 그리디로 풀어야할까?다음 두가지 속성을 만족해야 그리디를 적용할 수 있다.탐욕 선택 속성각 단계에서 ‘최선의 선택’을 했을 때 전체 문제에 대한 최적해를 구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각 단계에서 가장 이상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 전체적으로 최적의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입니다.최적 부분 구조전체 문제의 최적해가 ‘부분 문제의 최적해로 구성’될 수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전체 문제를 작은 부분 문제로 나누어 각각의 부분 문제에서 최적의 해를 구한 후 이를 조합..

프로세스 동기화여러 프로세스가 공유하는 자원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공유 자원을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사용할 경우 불일치 문제가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세스간 실행 순서나 사용중인 자원을 보호하는 등의 규칙이 필요함.동시에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자원에 접근할 경우일관성 없는 데이터두 개 이상의 스레드가 동시에 공유 자원을 변경하거나 읽을 때 서로 다른 데이터를 읽게되어 다른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데드락(deadlock)두 개 이상의 스레드가 서로 다른 자원을 점유하고, 서로 상대방의 자원을 기다릴 때 교착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성능 저하스레드간의 경쟁 상황으로인해 성능이 저하된다.경쟁 상태여러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공유자원에 동시에 접근할 때 공유자원에 대한 접근 순서에 따라 실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