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y's story
[NETWORK] 프록시 서버 본문
SMALL
프록시 서버란?
- 프록시란?
- 대리, 대신이라는 뜻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가교 역할로 대리 통신을 수행한다는 의미로 프록시라고 지칭
-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컴퓨터 시스템
프록시 서버의 장점
- 보안 강화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ip 주소를 숨길 수 있어서 보안 한단계 더 추가
- 보안상의 이유로 외부와 직접 통신할 수 없을 때 프록시 서버 이용
- 프록시 서버에 요청된 내용을 캐시를 이용해 저장
- 전송시간 절약
- 불필요하게 외부와의 연결을 하지 않아도 됨
- 트래픽을 줄여서 네트워트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
- 대역폭 줄임
- 트래픽을 줄여서 네트워트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
- 접속 우회
- ip때문에 못들어가는 사이트에 들어갈 때 ip 주소를 숨기기 위해 여러 프록시 서버 경유
- 로그 기록
- 클라이언트의 기록을 관리하고 연결된 클라이언트들의 정보 제어
- 후에 분석/감사 가능
- 로드 밸런싱
- 중간에서 요청을 분배할 수 있음.
- 콘텐츠 필터링
- 부적절한 콘텐츠 제한
- 방화벽
- 보안을 위해 방화벽과 함께 쓰임
- 프록시 서버 →요청 제어
- 방화벽 → 네트워크 패킷 제어
💡 프록시 서버의 네트워크는 public이기때문에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음. 따라서 데이터가 탈취당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vpn 사용. 보통 프록시 + 방화벽 + vpn 같이 사용
💡 vpn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보안 처리된 터널을 만들어 내부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보안을 유지하는 것
- vpn을 이용하면 내 ip가 아닌 vpn ip로 인식
- 데이터가 암호화되어있어 vpn 로그를 보지 않는 이상 사용자를 알아내기 어려움
프록시 서버의 종류
1.Forward proxy
- 프록시 서버가 클라이언트 호스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
- 클라이언트는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있음
- 클라이언트 호스트들은 사용 중인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프록시 서버 사용을 설정 해야 하기때문
- 정해진 사이트만 연결 가능하도록할 수 있어 기업에서 많이 사용
- 대역폭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
- 접근 정책 구현에 있어 다루기 쉬우며 비용이 저렴
2.Reverse proxy
- 프록시 서버를 서버 앞에 위치
- 클라이언트는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없음
- 서버의 수행비서 느낌
- 프록시가 요청을 받아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와 클라이언트에게 넘겨줌
- 보안때문에 사용
- dmz
-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하는 구간
- 메일 서버, 웹 서버, ftp 서버 등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위치
3. Open proxy
- 모든 인터넷 사용자 접근 가능
- 사용자가 웹 브라우징을 하거나 인터넷 서비스를 하는 동안 ip 주소를 숨길 수 있도록 해줌
- ip 추적 방지, 우회해서 접속 가능
- 인스타그램 부계정 계속 만들면 ip 오픈 프록시로 분류돼서 신고당함
- 스패머, 해커들이 많이 사용프록시 서버란?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조인 (0) | 2024.07.21 |
---|---|
[DB] key (0) | 2024.07.14 |
[NETWORK] L4,L7 스위치, 로드밸런싱 (1) | 2024.06.30 |
[Algorithm] 그리디 (2) | 2024.06.09 |
[OS] 동기화(스핀락, 뮤텍스, 세마포어) (0) | 2024.06.02 |